2025.04.25 금요일
맑음 서울 16˚C
맑음 부산 17˚C
맑음 대구 18˚C
맑음 인천 16˚C
흐림 광주 17˚C
흐림 대전 17˚C
흐림 울산 17˚C
맑음 강릉 16˚C
맑음 제주 15˚C
IT

카카오엔터, AI가 웹툰 숏폼 만든다…'헬릭스 숏츠' 서비스 개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4-22 14:17:48

제작 시간·비용 90% 이상 절감…콘텐츠 탐색 경험 혁신

AI, 웹툰 분석해 영상·음성·음악 자동 생성…카카오페이지 적용 완료

헬릭스 숏츠 적용 화면 예시 카카오엔터 제공
헬릭스 숏츠 적용 화면 예시. 카카오엔터 제공
[이코노믹데일리]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웹툰을 기반으로 한 짧은 영상(숏폼)을 자동으로 제작하는 서비스 '헬릭스 숏츠'를 정식으로 선보인다고 22일 밝혔다.

'헬릭스 숏츠'는 AI가 웹툰의 핵심 요소를 깊이 있게 분석하여 작동한다. 웹툰의 컷 구성, 말풍선 속 대사, 등장인물의 표정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해 전체 줄거리를 자동으로 요약하고 이를 바탕으로 숏폼 영상용 내레이션 스크립트를 생성한다. 생성된 텍스트는 자연스러운 음성으로 변환하는 텍스트음성변환(TTS) 기술을 통해 음성 내레이션으로 구현되며 영상에는 자막과 함께 삽입된다.

나아가 AI는 이야기의 흐름과 감정선에 맞춰 웹툰 컷 이미지를 배치하고 화면 확대(줌 인)나 좌우 이동 같은 시각 효과를 자동으로 적용한다. 또한 작품의 주제와 분위기에 가장 어울리는 배경음악(BGM)까지 추천하여 영상의 완성도를 높인다. 이 모든 제작 과정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원작의 감성을 유지하면서도 몰입감 높은 숏폼 콘텐츠를 만들어낸다.

이 기술 도입으로 웹툰 홍보용 숏폼 제작의 효율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기존에는 숏폼 영상 한 편을 제작하는 데 평균 3주의 시간과 약 200만원의 비용이 소요되었으나 '헬릭스 숏츠'를 활용하면 단 3시간 만에 6만원 수준의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제작 시간과 비용이 90% 이상 절감된 셈이다. 이를 통해 더 많은 작품을 효과적으로 이용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2023년부터 이 기술 개발에 착수하여 지난해 8월 첫 테스트를 거쳤고 11월부터 '헬릭스 숏츠'를 본격 도입했다. 올해 2월에는 최근 30일간 웹툰 열람 기록이 있는 모든 카카오페이지 이용자에게 해당 서비스 적용을 완료했다. 현재 카카오페이지 홈 화면에 노출되는 전체 숏폼 중 약 40%가 '헬릭스 숏츠'로 제작된 영상이며, 이 비중은 점차 확대될 예정이다. 완성된 숏폼은 이용자 취향에 맞춰 AI가 자동으로 추천해 보여주므로, 숏폼 시청 후 실제 웹툰 열람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인다.

카카오엔터는 상반기 중으로 AI 에이전트를 도입하여 현재 일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검수 및 편집 과정까지 자동화함으로써 제작 효율을 더욱 끌어올릴 계획이다.

김기범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헬릭스 숏츠를 통해 이용자에게는 직관적인 콘텐츠 탐색 경험을, 창작자에게는 작품을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며 "카카오엔터는 창작 생태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AI 기술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해 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