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생명·손해보험협회에 따르면 보험사는 주택담보대출·신용대출(소득증빙·무증빙) 상품을 판매 중이다. 지난 6월 기준 각 상품의 평균 금리는 △주택담보대출 4.53% △신용대출(소득증빙) 7.74% △신용대출(소득무증빙) 9.02%로 집계됐다.
주택담보대출·소득무증빙형 신용대출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보다 각각 0.22%p·0.1%p 감소한 반면 소득증빙형 신용대출 금리는 0.09% 증가했다. 특히 9% 수준을 유지하던 손보사의 소득무증빙형 신용대출 금리는 8.99%까지 하락했다.
주담대 금리가 가장 높은 보험사는 푸본현대생명으로 5.48%를 기록했다. 타 보험사의 금리는 △흥국생명 4.69% △현대해상 4.74% △교보생명 4.69% △삼성화재 4.58% 순이었다. 같은 기간 16개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 단순 평균은 4.05%로 보험사 금리가 0.51%p 높았으며 삼성생명(4.09%), NH농협손해보험(4.04%) 등 몇몇 보험사는 은행권 평균과 비슷하거나 낮은 수준을 보였다.
보험사가 판매하는 신용대출은 소득증빙형·무증빙형으로 나뉜다. 소득증빙형은 원천징수영수증·건강보험료 납입증명서 등을 통해 소득을 확인 후 제공하는 대출, 무증빙형은 보험료 납입, 신용점수 등의 정보만 확인하는 대출로 중·저신용자들의 수요가 높은 무증빙형의 금리가 높게 책정된다.
소득증빙형 신용대출 금리는 한화생명이 가장 높은 8.98%를 삼성생명은 업계 최저 금리인 6.58%를 기록했다. 타 보험사는 △흥국생명 7.92% △삼성화재 7.74% △교보생명 7.47% 순으로 나타났다.
소득무증빙형 금리는 흥국화재가 9.96%로 가장 높았으며 △교보생명 9.91% △현대해상 9.41% △미래에샛생명 9.28% 등이 뒤를 이었다. 타 보험사는 8.14%로 최저 금리를 기록한 KB손해보험을 제외하고 8% 후반대 금리를 유지했다. 대부분 보험사의 평균 금리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흥국화재·현대해상의 금리는 각각 0.61%p·0.89%p 올랐다.
소득무보증형 신용대출 금리는 은행권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주택담보대출과 달리 같은 기간 은행 일반신용대출 평균 금리 5.38%보다 3.64%p 높았으며 전체 보험사가 은행권 평균보다 높은 금리를 기록했다. 여신전문금융사(카드·캐피탈)의 최고 신용 점수 구간(900점 이상) 평균 금리 12.5%보다는 3.48%p 낮은 수준이다.
업계 관계자는 "기준 금리 인하로 시장 금리가 전체적으로 인하 추세를 보이면서 보험사 대출 상품 금리가 낮아졌다"며 "차주 상황에 따라 금리가 다르게 책정될 수 있어 고객별로 확인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