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단통법 폐지 '무색'…휴대폰 지원금, 고작 2만원 올랐다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10.09 목요일
흐림 서울 21˚C
흐림 부산 22˚C
흐림 대구 21˚C
흐림 인천 21˚C
흐림 광주 23˚C
흐림 대전 22˚C
흐림 울산 21˚C
흐림 강릉 17˚C
흐림 제주 25˚C
IT

단통법 폐지 '무색'…휴대폰 지원금, 고작 2만원 올랐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10-09 12:27:10

9월 평균 지원금 75만원, 폐지 직전 대비 소폭 상승

아이폰 84만원·갤럭시 74만원…프리미엄폰에 '쏠림'

서울 시내 휴대전화 판매점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시내 휴대전화 판매점 모습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단통법’이 폐지되면 휴대폰 지원금이 대폭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무색하게 실제 인상 폭은 2만원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금 경쟁에 불이 붙을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이동통신 3사가 여전히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9일 국회 과방위 최수진 의원(국민의힘)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9월 기준 이동통신 3사의 단말기 평균 지원금은 7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단통법 폐지 직전인 6월(73만3000원)과 비교해 약 2만원 오르는 데 그친 수치다.

오히려 단통법 폐지 이전인 2월부터 6월까지의 지원금 상승 폭이 더 컸던 것으로 나타나 법 폐지 효과가 미미했음을 보여줬다. 통신사별로는 LG유플러스가 75만7000원으로 가장 높았고, KT(75만5000원), SK텔레콤(73만9000원) 순이었다.

기종별로는 프리미엄폰에 지원금이 쏠리는 현상이 뚜렷했다. 2월부터 9월까지 평균 지원금은 아이폰이 84만원, 갤럭시 프리미엄 모델이 74만원이었던 반면 갤럭시 중저가 모델은 42만원에 불과했다.

다만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지원금 격차는 올해 초 6만원에서 1만원 미만으로 줄어드는 긍정적인 효과도 있었다.

최수진 의원은 “단통법 폐지를 통해 이통 3사들에 대한 시장 요금 경쟁이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