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 대표는 21일 국회에서 열린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채택돼 참석했다.
국민의힘 한지아 의원은 정 대표에게 “현대백화점에서 ‘디노테퓨란’ 기준치가 초과된 우롱차가 약 1만5890잔이 판매됐고 이 상품을 판매한 드링크스토어는 불법적으로 국제 우편을 통해 티백 등을 반입했다”며 “현대백화점은 이 제품이 5개월간 판매될 동안 품질 모니터링, 내부 점검조차 시행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정 대표는 “최고 수준의 품질 안전 검사를 실시하고 있지만, 이번 사태는 기존 체크하고 있는 부분에서 제외돼 있었다”고 해명했다.
또 한 의원은 “현대백화점은 이 사건 이후 농약우롱차를 판매했던 장소에 다른 업체를 신속하게 입점시켰다. 백화점의 우선순위는 소비자의 건강이 아니라 ‘지갑’이냐”며 “주요 백화점 3사 중 가장 많은 특약매입 계약을 맺고 있어 이에 대한 점검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인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특약매입 계약과 관련해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백화점이 직접 판매하고, 문제가 생길 경우 백화점이 책임을 질 것이라고 믿고 상품을 구매한다”며 “문제가 생긴 뒤 즉각적인 조치를 취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정 대표는 “특약 매입은 한국 유통의 독특한 구조”라며 “인테리어, 임대료, 세금, 수도세 등을 전부 백화점에서 맡아 영세 업체들이 자본 없이 입점할 수 있다. 전체적인 시스템 문제가 아니라 장단점이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사건 발생 며칠 후 안내문을 공개한 점에 대해 “고객들의 교환 조치, 환불 등을 위해 내부적으로 준비 기간이 필요했다”며 “약 40여일간 피해 고객들의 접수를 받아 충분한 보상을 제공했다”고 말했다.
그는 “고객의 신뢰와 가치를 중시하는 백화점에서 이와 같은 사건이 발생해 죄송하게 생각한다”며 “추후에도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직원과 함께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