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아령생활경제부
kimar0604@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
'황금알' 된 K-뷰티…'유통 공룡' 아마존, 韓 중기 모셔간다
세계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 아마존이 ‘K-뷰티’ 브랜드 모시기에 나섰다. 스킨케어, 선크림 등 한국 화장품이 미국을 중심으로 해외에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자 한국 뷰티업계에 먼저 러브콜을 보낸 것이다. 최근에는 화장품 기업 대상 설명회까지 마련하며 “K-뷰티가 세계 무대에서 빛날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아마존이 글로벌 시장에서 ‘화장품’이라는 특정 분야만으로 행사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인 만큼, 국내 중소 브랜드의 해외 시장 진출과 실적 확대가 기대되고 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아마존 글로벌셀링 코리아는 지난달 26일 한국 중소 화장품 제조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프로젝트 K-뷰티 고 빅(Project K-Beauty Go Big)’을 발표했다. 아마존 글로벌셀링 코리아는 한국 우수 상품을 전 세계 글로벌 마켓플레이스에 소개하는 가교 구실을 한다. 국내 중소 제조사, 정부 기관, 관련 협회 등과 협업해 제품 기획부터 제조, 패키징, 브랜딩, 해외 판매까지 모든 과정을 통합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아마존이 K-뷰티에 힘을 주는 것은 한류를 타고 전 세계 시장에서 한국 화장품의 인기가 급상승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액은 85억 달러(약 11조원)로 2021년(92억 달러)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많았다. 올해 1분기는 지난해 동기 대비 21.7% 증가한 23억 달러(약 3조원)로 분기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연간 기준 화장품 수출액으로는 프랑스, 미국, 독일에 이어 전 세계 4위다. 특히 세계 화장품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에서는 20%가 넘는 시장 점유율로 프랑스, 캐나다에 이어 3대 화장품 수입국이 됐다. 지난해 대비 화장품 수출액은 전년보다 44.7% 증가한 12억 달러(약 1조6000억원)로 사상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넘어섰다. 보수적인 시장인 일본에서도 25.6%의 점유율로 프랑스와 같은 쟁쟁한 경쟁국을 제치고 최대 수입국 지위를 확보했다. 과거 중국이 국내 화장품 산업 성장을 이끌었다면 이제는 시장 다각화로 미국, 일본, 유럽 시장 등이 골고루 성장 중이다. 올해 한국 화장품 수출국은 170개국이 넘는다. K-뷰티 열풍은 중소 화장품 회사들이 이끌고 있다. 과거에는 거대한 중국 시장에서 수출 판로를 개척한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 등 소수 대기업들이 주역이었나 최근에는 인디 브랜드를 보유한 중소기업들이 다양한 시장에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K-콘텐츠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가성비(우수한 기능·효과에 비한 저렴한 가격) 좋은 한국 화장품에 대한 입소문이 퍼지고 있어서다. 한국 화장품 인기는 아마존 판매 실적에서도 나타났다. 아마존닷컴 뷰티 카테고리에서 스킨알엑스, 티앤엘, 티르티르 등 국내 화장품 브랜드는 스킨케어·색조 등 각 부문 판매 상위권을 휩쓸고 있다. 아마존에 입점한 한국 화장품 판매자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보다 75% 이상 늘었다. 올해는 상반기 기준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2배 이상 많은 매출을 올렸다. 연간 10만달러(약 1억4000만원) 이상 매출을 기록한 판매자가 2022년보다 2배 이상 많아지는 등 양적, 질적 성장세가 뚜렷하다고 아마존 측은 설명했다. 신화숙 아마존 글로벌셀링 코리아 대표는 “K-뷰티는 우수한 제품력과 소비자 중심의 제품 포트폴리오, 브랜드 경험의 확장 등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K-뷰티의 성공 신화에서 얻은 인사이트와 노하우를 공유함으로써 더 많은 한국 셀러(판매자)가 세계 무대에 진출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2024-07-02 06:00:00
-
-
-
-
-
"전분업부터 급식업까지"…사조그룹, '광폭 M&A' 힘 발휘할까
사조그룹이 올해 광폭 인수합병(M&A)에 나서며 몸집을 거대하게 부풀리고 있다. 지난 2월 미국계 전분당업체인 ‘사조CPK’(옛 인그리디언코리아)에 이어 최근 연매출 1조원 규모 식자재·위탁급식 업체인 ‘푸디스트’를 인수하면서다. 사조그룹은 적극적인 M&A로 올해 매출 6조원 5년 내 10조원 기업이 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사조그룹은 푸디스트 인수로 기존 농수축산, 식품 제조에 이어 식자재·급식까지 아우르는 ‘밸류체인(가치사슬)’을 완성하게 된 가운데, 경쟁사 ‘대상’을 제치고 식품업계 3위에 올라설 수 있을지 주목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사조그룹은 지난 24일 VIG파트너스가 보유한 식자재 및 위탁급식 업체 푸디스트 지분 99.86%을 2520억원에 인수한다고 공시했다. 사조그룹 계열사인 사조오양과 사조CPK가 공동으로 지분을 인수하는 방식으로 각각 800억원, 1720억원을 투자한다. 이번 인수는 지난 2월 사조CPK(옛 인그리디언코리아) 지분 전량을 3840억원에 인수한 지 약 4개월 만에 추진하는 대형 M&A다. 인그리디언 코리아는 1906년 미국 뉴저지에서 설립돼 식품 소재 솔루션을 120개국에 제공해온 글로벌기업 인그리디언의 한국지사다. 천연원료인 옥수수, 감자 등을 사용해 전분과 당, 그리고 제품의 가치를 높이는 차별화된 기능성 소재를 개발하고 보유하고 있다. 사조CPK 인수 당시 사조그룹은 사실상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사조산업이 아닌 사조대림을 인수주체로 내세웠다. 사조대림이 그룹의 식품 사업을 총괄하는 계열사이기 때문이다. 다만 이번 딜에서 사조대림이 아닌 자회사를 주체로 인수에 나선 배경은 앞서 진행된 사조CPK 인수 과정에서 대규모 차입금을 조달했기 때문이다. 이에 추가적인 차입 규모를 늘리기엔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분석된다. 인수가 완료되고 나면 사조CPK와 사조오양이 각각 푸디스트 지분 68.16%, 31.7%를 보유하게 된다. 푸디스트는 국내 6위 식자재 유통·위탁 급식 기업이다. VIG파트너스는 지난 2018년 식자재 마트인 윈플러스를 인수하고, 2020년 한화호탤앤리조트에서 분사한 식자재유통·단체급식 사업부문을 합병해 푸디스트를 세웠다. 작년 매출은 1조291억원, 영업이익은 75억원을 기록했다. 사조그룹은 이번 인수로 농축수산 등 1차 산업 전 영역을 아우르고, 식품·유통 부문에서 국내 28개 공장을 보유한 식품 밸류체인을 구축하게 됐다. 1차 산업에서의 안정적인 식자재 공급과 구매력 강화, 그룹 전반의 제품 포트폴리오와 브랜드 전략을 수립해 계열사 간 시너지를 키운다는 방침이다. 식품업계 순위 변동도 주목된다. 지난해 식품그룹 매출 순위(운송기업 제외)는 CJ, 동원, 대상, 사조 순이었다. 3위 대상그룹(5조2594억원)과 4위 사조그룹(4조1295) 간 격차는 1조원이 넘었다. 하지만 올해 사조그룹이 작년 매출 4244억원을 기록한 사조CPK와 1조원을 넘긴 푸디스트를 연달아 품게 되면서 전체 매출이 1조5000억원가량 늘어나게 됐다. 각 기업이 올해 작년 수준의 매출을 올리게 될 경우 사조그룹은 대상그룹을 제치고 3위에 올라서게 될 예정이다. 사조그룹 관계자는 “이번 인수를 통해 올해 매출 6조원을 달성하고, 5년 내 연 매출 10조원의 외형을 갖출 것”이라며 “푸디스트 인수로 식품 사업 간 시너지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2024-06-28 22:09:53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