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재관IT온라인부
seon@economidaily.com
기사 제보하기
최신기사
-
-
-
-
엔비디아, 2026년 차세대 AI GPU '루빈' 출시…HBM4 메모리 탑재 예정
인공지능(AI) 칩 시장을 주도하는 엔비디아가 2026년 출시 예정인 차세대 AI 그래픽 처리장치(GPU) '루빈'(Rubin)을 최초 공개했다. 젠슨 황 CEO는 3일(현지시간) 대만 타이페이에서 열린 컴퓨텍스(COMPUTEX) 2024 기조연설에서 루빈을 양산한다고 밝혔다. 루빈은 6세대 고대역폭 메모리(HBM)인 'HBM4'를 채택할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사양은 공개되지 않았다. 대만 언론은 루빈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 생산) 업체인 대만 TSMC의 3nm 공정 제품으로 생산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루빈은 HBM4를 사용하는 최초의 GPU가 될 것으로 전했다. 또한 엔비디아는 이어 2025년부터 출시 예정인 블랙웰(Blackwell) 울트라 GPU에는 HBM 5세대인 HBM3E 제품이 탑재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젠슨 황 CEO는 "매년 신제품 출시" 계획을 지속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2년 전 발표된 자사의 호퍼(Hopper) 아키텍처의 후속 기술인 블랙웰 GPU 플랫폼을 정식 운영하기 시작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엔비디아가 곧 자체 중앙처리장치(CPU)인 '베라'(Vera)도 출시할 예정이며, 2027년에는 루빈 울트라(Rubin Ultra) GPU를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젠슨 황 CEO는 "생성형 AI(AI)의 부상이 새로운 산업 혁명을 가져왔다"고 말하며, "AI 기술이 개인용 컴퓨터에 탑재될 때 엔비디아가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또한, 엔비디아가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 고객을 넘어 고객 기반을 더욱 확대하면 많은 기업과 정부가 AI를 수용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젠슨 황 CEO는 AI 시대를 맞아 실제 인간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디지털 휴먼'(Digital Human)이라는 개념을 설명했다. 또한, 대만 폭스콘(Hon Hai Precision Industry)과의 협력을 통해 생산한 GB200 NVL72 서버를 선보였다. 그는 또한, 대만 교통부 중앙 기상청(CWA)이 엔비디아의 어스-2(Earth-2) 디지털 모델을 사용해 태풍 등 대만의 기후 변화를 더욱 정확하게 예측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2024-06-03 08:03:54
-
야놀자, 미국 나스닥 상장 본격화...델라웨어주에 100% 출자 현지법인 설립
야놀자가 미국 나스닥 상장을 추진하는 가운데,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야놀자는 지난 2월 8일 'Yanolja US LLC.'라는 사명의 미국 현지 법인을 설립했다. 이는 야놀자가 나스닥 상장 추진에 박차를 가하는 행보로 해석된다. 야놀자가 공시한 1분기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현지 법인의 주요 영업활동은 '컨설팅업'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지배기업인 야놀자가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장부금액은 1억3251만 원으로 기록됐다. 야놀자가 법인을 설립한 델라웨어주는 미국에서 가장 조세부담이 적고 기업친화적인 회사법을 갖춘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애플,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은 물론, 미국에 직상장한 쿠팡Inc도 델라웨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이유이다. 업계는 이번 미국 현지 법인 설립을 두고, 야놀자가 나스닥 상장 추진에 한층 더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2월 야놀자가 뉴욕증권거래소에서 20년 이상 근무한 알렉산더 이브라힘 최고재무책임자(CFO)를 영입한 것과, 올 3월 뉴욕 맨해튼에 50번째 해외 지사인 '야놀자 US 오피스'를 개소한 사실은 이러한 전망을 더욱 뒷받침해 준다. 야놀자의 나스닥 상장 계획이 구체화되면서, 앞으로의 행보에 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024-06-02 23:02:42
-
-
-
-
NCT WISH, 부산 팬미팅도 전석 매진...시즈니와 함께한 잊지 못할 추억
NCT WISH(엔시티 위시, 에스엠엔터테인먼트 소속)는 전국 팬미팅 투어 'NCT WISH : SCHOOL of WISH'(엔시티 위시 : 스쿨 오브 위시)의 일환으로 진행된 부산 공연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지난 6월 1일 오후 2시와 7시, 부산 드림씨어터에서 열린 두 공연 모두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NCT WISH의 뜨거운 인기를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이번 부산 공연은 보이스카우트라는 콘셉트로 진행되어 '엔위시단' 스카우트 대원으로 변신한 NCT WISH의 청량하고 풋풋한 매력을 한껏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무대 연출부터 의상까지 앞선 서울 공연과는 또 다른 볼거리를 선사하며 팬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했다. 팬미팅에서는 6명의 멤버들이 제시어에 따라 한 마음으로 같은 동작을 만들어야 하는 '일심동체 게임', 안대를 쓴 사람이 다른 사람이 그림을 그리는 손 동작만으로 어떤 그림인지 알아 맞히는 '그림 텔레파시', 그동안 멤버들에게는 직접 말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유쾌하게 털어놓는 '속마음 토크' 등 다양한 코너를 통해 멤버들 간의 재치 넘치는 케미를 발휘했다. 또한, 데뷔 싱글에 수록된 'WISH'와 'Sail Away'(세일 어웨이)부터 파워풀한 군무가 압도적인 'Hands Up'(핸즈 업)과 'NASA'(나사), 댄스 커버곡 '누난 너무 예뻐 (Replay)' 등 다채로운 무대를 펼쳐 팬들을 열광시켰다. 앙코르 때는 한국어 버전 'We Go!'(위 고!)를 부르며 객석에서 깜짝 등장해 팬들과 가까이 소통하며 뜨거운 환호를 받았다. 팬미팅을 마무리하며 NCT WISH는 "부산 시즈니(팬덤 별칭)의 함성과 열기가 너무 뜨거웠다. 시즈니랑 함께 호흡하면서 만든 무대가 제일 재미있고, 시즈니가 웃는 모습을 볼 때마다 행복했다. 여러분의 사랑을 받을수록 저희가 더 큰 사랑 드릴 수 있도록 열심히 해야겠다는 마음이 들었고, 앞으로 계속 행복하게 만들어줄 테니 오래오래 보자"라고 팬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했다. 이어 "이번 팬미팅을 통해 시즈니 여러분과 함께 소중한 시간을 보낼 수 있어서 정말 행복했다. 앞으로도 더 좋은 모습으로 찾아뵙겠다"고 약속하며 팬들의 기대감을 높였다. NCT WISH는 부산 공연에 이어 6월 8일 오후 2시와 7시, 전주 전북대학교 삼성문화회관에서 'NCT WISH : SCHOOL of WISH'를 이어가며 전국 팬들과 만날 예정이다. 뜨거운 인기를 입증하고 있는 NCT WISH의 앞으로의 활동에 더욱 기대가 모아진다.
2024-06-02 15:03:46
-
-
네이버 웹툰, 미국 나스닥 상장 본격화…최대 5조 5천억원 모금 예상
네이버웹툰 본사인 웹툰엔터테인먼트(Webtoon Entertainment)가 미국 나스닥 상장을 본격화했다고 2일 업계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밝혔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지난 31일(현지 시각) SEC에 기업공개(IPO) 신고서를 제출했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웹툰엔터테인먼트의 종목 코드는 'WBTN'이며, 상장 주관사는 골드만삭스, 모건스탠리, JP모건, 에버코어다. 현재 웹툰엔터테인먼트는 150개국 이상에서 서비스되고 있으며, 1억 7천만 명의 월간 활성 사용자(MAU)를 보유하고 있다. 2023년 매출은 12억 8270만 달러(약 1조 7740억 원), 순손실은 1억 4480만 달러(약 2002억 원)를 기록했다. 김준구 웹툰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는 "웹툰 서비스에서 매달 전 세계 1억 7천만 명의 이용자와 2400만 명의 창작자가 만나고 있다"며 "웹툰엔터테인먼트의 많은 콘텐츠가 영화, 스트리밍 시리즈, 애니메이션, 비디오 게임 등으로 옮겨졌다. 우리의 목표는 향후 10년 동안 가장 큰 히트를 칠 콘텐츠 프랜차이즈를 발견하고 개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웹툰엔터테인먼트의 기업 가치를 30억~40억 달러(약 4조 4150억~5조 5320억 원)로 추정하며, 나스닥 상장 시 최대 5억 달러(약 6915억 원)를 조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이번 신고서에서 현재 개발 중인 웹툰 창작 보조 프로그램도 설명했다. 웹툰엔터테인먼트는 "테스트 단계에 있는 (창작 프로그램) 셰이퍼(Shaper)를 사용하면 제작자는 각 포즈를 스케치할 필요 없이 캐릭터의 포즈를 원활하게 변경하기 위해 3D 캐릭터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며 "테스트 단계의 또 다른 제품인 콘스테라(Constella)는 AI를 활용해 다양한 포즈의 3D 캐릭터 모델을 작성자의 그림 스타일에 따라 자연스럽게 2D 캐릭터로 변환한다"고 설명했다.
2024-06-02 13:55: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