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34개 국가(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올 1분기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 중 한국이 98.9%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홍콩 92.5%, 태국 91.8%, 영국 78.1%, 미국 71.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코로나19 이후 4년 동안 가계부채 1위 국가라는 낙인을 지우지 못하고 있다.
그럼에도 1분기 한국 가계부채 비율은 3년 반만에 90%대로 떨어졌다. 2020년 3분기 100.5%로 100%대를 넘었고 2022년 1분기는 105.5%를 기록해 정점을 찍었다.
이번 1분기 한국 가계부채 비율이 지난해 1분기보다 2.6%p 감소했는데 비율 내림 폭이 홍콩이 -3.8%p, 영국이 -3.5%p, 미국이 -2.8% 다음으로 높았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해 8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가면 경제 성장이나 금융안정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현재 100% 이상인 이 비율을 90%를 거쳐 점진적으로 80%까지 낮추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100% 밑으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이룬 셈이다.
IIF는 보고서에서 "세계 부채 규모가 올해 1분기 1조3천억달러 늘어 사상 최대인 전체 315조달러(GDP의 333%)를 기록했다"며 "증가의 주요 원인은 중국·인도·멕시코 등 신흥시장 때문인데 반대로 한국·태국·브라질의 경우 총부채 규모(미국 달러 환산)가 유의미하게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민간 부채 중 하나인 기업의 부채 증가세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한국의 GDP 대비 비(非)금융기업 부채 비율은 1분기 기준 123.0%로 1년 전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비해 비율이 높은 국가는 홍콩 261%, 중국 170.6%, 싱가포르 127.2% 총 3곳이었다. 우리나라의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전년 대비 0.1%p 감소한 47.1%로 34개국 중 22위를 차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