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의원은 11일 서구 청라1·2·3동 주민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제3연륙교의정식 명칭을 ‘청라대교’로 결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최근 실시한 제3연륙교의 청라대교 명칭 지정의 찬반을 묻는 온라인 설문 결과 1만4176명이 청라대교로 지정해야 한다고 응답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제3연륙교의 수혜는 대부분 영종도 주민들이 받은 데 비해, 건설비의 절반은 청라가 부담했다"며 "제3연륙교의 명칭 지정이 지연될수록 불필요한 갈등만 증폭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인천시에 대해서도 제3연륙교 명칭의 빠른 행정 절차 진행을 밝혔다.
이 의원은 "인천시가 서구 명칭의 결정을 고려하기 위해 제3연륙교의 명칭 공모를 고려했다"면서 "구 명칭 상관없이 청라대교로 해야 한다"고 했다.
김원진 인천시의회 의원도 제3연륙교의 명칭이 청라대교가 돼야 하는 이유에 대해 밝혔다.
김 의원은 "영정도와 내륙을 잇는 다리로 영정대교가 있는데 제3연륙교의 명칭을 굳이 영정도의 특정 지명을 붙일 이유가 없다"며 "영종과 다른 단어의 합성어로 결정되면 혼동만 유발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제3연륙교의 수혜는 대부분 영종도 주민이 받는 데 비해, 건설비의 절반인 3000억원을 청라가 부담해 형평성도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청라 주민도 제3연륙교 명칭에 대해 목소리를 높였다.
청라1·2·3동 주민 일동은 "인천시 지명위원회에 제3연륙교를 ‘청라대교’로 하루빨리 확정해 달라"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