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10월 처음 공개된 웨일 UBT는 교육 현장의 다양한 평가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개발됐다. 교사는 이 시스템을 통해 △수행평가 종합 관리체계 제공 △문항 저작 기능 △고품질 문항의 안정적 제공 △메타 데이터 표준화 △AI 감독관 평가 솔루션 등 공교육 평가 전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교사가 직접 문항을 제작하거나 교육청 단위로 구축된 문제은행을 활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형식의 수행평가를 설계할 수 있는 맞춤형 저작 도구도 지원한다. 웨일 UBT는 초·중·고 교육과정의 성취 기준에 맞춰 메타데이터를 표준화했으며 여러 출판사와의 협력을 통해 고품질 문항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응시자의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AI 감독관 평가 솔루션을 탑재해 평가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한층 높였다. 이는 안전한 평가 환경 조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아이온에 적용되는 웨일 UBT에는 EBS, 천재교육, 지학사, 쏠북 등 4개 출판사가 제공하는 약 40만 개의 문항이 포함된다. 이와 함께 2015년 및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메타데이터 표준화가 완료됐으며 수행평가 기능도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또한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안드로이드 태블릿 환경에서도 원활한 이용이 가능하도록 ‘웨일 브라우저’의 모바일 시험 모드 기능이 새롭게 개발됐다.
김효 네이버 웨일 리더는 “학습의 패러다임이 개인 맞춤형 학습과 과정 중심 평가로 변화하는 흐름에 맞춰 공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올인원 평가 서비스인 웨일 UBT를 선보이게 됐다”며 “앞으로도 교육 현장의 의견을 지속 반영하고 평가 문항을 지속적으로 확충해 평가에 최적화된 서비스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