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요일
흐림 서울 31˚C
흐림 부산 28˚C
흐림 대구 31˚C
맑음 인천 29˚C
흐림 광주 29˚C
흐림 대전 30˚C
흐림 울산 28˚C
흐림 강릉 27˚C
흐림 제주 28˚C
금융

수도권 침수사고 10건 중 7건은 세단…"야간운전 특히 위험"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유명환 기자
2025-08-08 14:40:53

최근 3년간 4232건 발생…수해 피하려면 저지대 우회·시동 금지해야

광주광역시 보건소 근처 도로가 물에 잠겨 운전자가 창문 밖으로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독자제공
광주광역시 보건소 근처 도로가 물에 잠겨 운전자가 창문 밖으로 상황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독자제공]
[이코노믹데일리] 세단형 승용차가 차량 침수 사고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전체 사고의 70% 이상이 집중됐으며, 야간 운행 중 사고 발생률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8일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가 발표한 '차량 운행중 침수 피해 특성과 예방 대책'에 따르면 최근 3년(2022~2024년)간 차량 운행 중 발생한 침수 사고 4232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사고 피해액은 총 325억원에 달했으며, 사고 1건당 평균 피해액은 768만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22년 장마와 태풍 힌남노 영향으로 침수 사고가 집중되며 2924건이 발생했다. 이는 이후 2년(2023~2024년)간의 연평균 발생 건수(654건)보다 약 4.5배 많은 수치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72.5%를 차지했고, 이 중에서도 경기도(40.1%)가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다. 서울시 내에선 서초구와 강남구에서 각각 31.2%, 30.3%가 발생했으며, 성남시(12.2%)와 화성시(8.8%)가 경기도 내 침수 피해가 가장 많았다.

차종별로는 세단형 승용차의 침수 사고 비중이 72.5%에 달했다. 연구소에 따르면 세단의 엔진 흡입구 높이는 평균 69㎝로, SUV(97㎝)보다 28㎝ 낮다. 구조적으로 침수에 취약한 셈이다.

사고 시점으로는 야간 발생률이 61.2%로 주간을 앞섰다. 특히 오후 9시부터 자정 사이에 전체 사고의 31.6%가 집중됐다. 야간 침수 사고의 평균 피해액은 862만원으로, 주간(약 616만원)보다 1.4배 높았다.

삼성화재는 장마철과 태풍 기간에는 가급적 차량 운행을 자제하고, 불가피한 경우 저지대 구간을 우회할 것을 권고했다. 특히 세단형 차량은 엔진 구조상 침수에 민감하기 때문에 침수 구간을 무리하게 통과하지 않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제호 삼성화재 교통안전문화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침수 도로를 부득이하게 통과해야 한다면 정지 없이 저속으로 한 번에 지나가야 한다"며 "차량이 침수됐다면 시동을 걸지 말고 바로 견인해 정비를 받아야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SUV 운전자들도 엔진 흡입구가 높다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며 "과신해 무리하게 침수 구간을 통과할 경우 오히려 더 큰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여신금융협회
KB
신한금융
농협
SK증권
부영그룹
신한투자증권
한화
신한은행
kb_3
kb_2
넷마블
우리은행_1
롯데
우리은행_2
한미그룹
KB_1
종근당
삼성자산운용
미래에셋자산운용
하나금융그룹
메리츠증권
kb
국민카드
농협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