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일 업계에 따르면 LG·SK·애경 등 주요 석유화학 기업은 AI를 업무 전반에 확대 적용하고 있다. LG CNS는 공정위험성평가를 위해 설비 도면을 AI로 자동 분석하는 'AI 에이전트'를 개발했다. 이를 활용하면 공장 내 모든 설비 도면과 사양을 자동으로 분석해 평균 분석 시간을 60% 이상 단축할 뿐만 아니라 정확도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금호석유화학은 지난 4월 AI 조직을 신설하고 제조 현장과 업무 안전성 향상에 기여할 AI 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애저 기반 생성형 AI 플랫폼을 도입해 정유·석유화학 분야에 AI를 적용하고 있으며 애경케미칼도 R&D 부문과 컴플라이언스실에 AI 기반 문서 검색시스템을 도입했다.
산업계 전문가들은 AI 활용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신정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AI를 탐사결과의 분석에 활용해 석유·가스의 탐사와 개발 가능성 높일 수 있다고 밝혔다.
미국 셰브론도 AI를 생산 예측과 유정 성능 분석에 활용한 결과 수개월이 걸리던 저류층 모델링을 단 몇 시간 만에 수행한다고 보고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도 발전 부문에서 AI를 적극 도입할 경우 석탄·가스 발전소 운영·유지보수(O&M) 비용을 최대 10% 절감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업계 일각에서는 석화 산업 전반에 AI를 적용할 수 있을 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강천구 인하대 제조혁신전문대학원 교수는 "AI 도입에 필요한 데이터 센터 구축과 냉각 기술이 충분히 뒷받침되고 있느냐가 근본적인 문제"라며 "AI가 석유화학산업에 도움을 주는 것은 사실이지만 데이터 센터와 냉각수 설비 기술 등 실질적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실행 가능성을 따져볼 수 있는 과학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며 "업계와 정부가 합세해 사업계획을 세우고 공론화를 통해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