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5˚C
맑음 부산 11˚C
맑음 대구 9˚C
구름 인천 4˚C
흐림 광주 6˚C
흐림 대전 5˚C
흐림 울산 7˚C
흐림 강릉 5˚C
흐림 제주 11˚C
금융

"DB형보다 DC형·IRP 대세"…퇴직연금 전문가 초집중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4-04-19 10:29:26

올해 말 예상 코스피 등락 범위 2600~2800선

연금 가입 직원들 "투자정보·컨설팅 필요"

자료사진 사진픽사베이
자료사진 [사진=픽사베이]
[이코노믹데일리] 기업에서 퇴직연금 운용을 맡은 담당자들은 확정급여(DB)형보다 확정기여(DC)형과 개인형 퇴직연금(IRP)에 대한 기대수익률이 더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19일 삼성증권이 이달 초 기업 인사·재무부 소속 연금 담당자 123명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9.8%(49명)가 DB형 퇴직연금의 5년 뒤 목표 수익률을 연 5% 수준으로 기대했다.

뒤이어 연 6∼8% 기대 응답은 33.3%(41명)로 나타났고 11% 이상 15.4%(19명), 9∼10% 11.4%(14명) 순이었다.

반면 연금 담당자 본인이 DC형이나 IRP 계좌를 보유한 경우 해당 계좌에서 기대하는 5년 뒤 목표 수익률은 연 6∼8%라는 응답이 전체의 36.6%(45명)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연 5% 수준, 11%라는 응답은 모두 26%(32명)였고 9∼10%는 11.4%(14명)로 가장 적었다.

DB형은 기업이 퇴직연금 적립금을 운용하고 DC형은 근로자가 적립금의 운용 방법을 결정한다. IRP는 근로자가 모은 퇴직금을 입금할 수 있는 퇴직금 전용 계좌다. 퇴직금 외에 여유자금을 납입해 노후를 위한 투자도 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운용이 가능하다.

연금 담당자들이 DB형에서 가장 관심을 두고 있는 자산은 채권(37.4%·46명)과 예금(37.4%)이었지만 DC형·IRP에서는 채권(34.1%·42명)과 상장지수펀드(ETF·34.1%)로 나타났다.

한편 응답자의 60.2%(74명)는 올해 말 예상 코스피 등락 범위를 2600∼2800선으로 잡았다. 2800∼3000은 22.8%(28명), 3000선 돌파는 6.5%(8명)였다.

올해 투자 결정에 가장 영향을 줄 이슈로는 미국의 금리 정책(49.6%·61명)을 지목했고 향후 가장 주목해야 할 투자 트렌드로는 인공지능(49.6%·61명)을 꼽았다.

내년 주식 투자 유망 지역으로 △미국(39.0%·48명) △인도(17.1%·21명) △한국(13.8%·17명) △일본(11.4%·14명) 응답이 많았다.

기업의 연금 가입 직원들은 △투자정보 및 컨설팅(43.9%·54명) △다양한 상품 라인업(22.0%·27명) △연금투자시스템 편의성(20.3%·25명) 등을 가장 필요로 했다.

아울러 설문 참여자들은 직원들에 대한 연금투자정보·상담 서비스(27.6%·34명)와 연금수익률(26.8%·33명)을 사업자의 가장 중요한 역할로 생각했다. 사업자 선정에 있어서도 중요한 요소로 여겼다.

이번 설문에 참여한 연금 업무 담당자들의 회사 규모는 중견기업 이상이다. 유통·게임·금융·에너지·언론 등 다양한 업종들로 구성됐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한화
우리은행
DB손해보험
삼성증권
신한은행
카카오
하나금융그룹
씨티
신한투자증권
신한금융지주
롯데캐슬
한국투자증권
경주시
포스코
KB국민은행
하이닉스
kb금융그룹
교촌
한화투자증권
NH투자증
SC제일은행
db
삼성화재
NH
삼성전자
스마일게이트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