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전자 산업의 쌀 'MLCC'…AI發 호재에 삼성전기도 '함박웃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고은서 기자
2024-05-22 15:51:33

생성형 AI 수요 증가 땐 MLCC 용량도 ↑

삼성전기, MLCC 매출 본격 상승세 예상

삼성전기 MLCC 제품사진삼성전기
삼성전기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제품[사진=삼성전기]
[이코노믹데일리] 인공지능(AI) 스마트폰 등 AI를 장착한 전자기기 시장이 확대되면서 고사양의 적층세라믹캐패시터(MLCC) 수요 호조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전기 제품의 핵심 부품인 MLCC를 주력 사업으로 둔 삼성전기도 이 같은 시장 흐름에 힘입어 성장가도를 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박강호 대신증권 연구원은 22일 보고서를 통해 "AI 시장 확대가 삼성전기 MLCC 사업 매출 증가로 이어지면서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삼성전기의 올 2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9.1% 증가한 2147억원, 연간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8.5% 늘어난 8855억원으로 추정했다. MLCC 시장수요가 올 1분기를 기점으로 정보기술(IT) 분야에서 회복해 가동률 개선이 진행되고 고객사 재고 축적이 가시화된다는 이유에서다.

MLCC는 전기를 저장했다가 반도체 등 능동부품이 필요로 하는 만큼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해 반도체가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하는 부품이다. 전자제품 안에서 신호간섭(노이즈)을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스마트폰 뿐 아니라 TV, 가전제품, 전기자동차 등 반도체와 전자회로가 있는 제품에는 대부분 사용된다. 제품의 크기는 머리카락보다 얇아 육안으로도 잘 보이지 않는다. 전기부품 중 가장 작은 크기지만 300㎖짜리 와인잔을 채우면 수억원 이상의 가치를 가진 고부가제품이다. 

김위헌 삼성전기 MLCC제품개발팀 상무는 지난 17일 서울 중구 삼성전자 기자실에서 열린 테크세미나에서 MLCC를 '도로 위 신호' 에 비유했다. 김 상무는 "반도체라는 목적지를 향해 가는 고속도로에서 자동차가 어느 방향으로 가야할 지 신호를 주는 것이 MLCC의 역할"이라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AI발 수요 증가로 MLCC 시장이 호황기에 진입했다는 평가를 내놓는다. 생성형 AI 확산으로 요구되는 MLCC 용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박상현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나 AI 가속기가 탑재되는 AI 서버에는 일반 서버 대비 최대 2.5배 많은 MLCC가 탑재된다"고 전했다. 

삼성전기는 MLCC 시장 성장세에 올라타 하반기에는 실적 개선을 이뤄낼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삼성전기는 전체 매출 8조9000억원 중 44%인 3조9000억원이 컴포넌트사업부에서 나왔다. 컴포넌트사업부 매출(3조9000억원) 가운데 MLCC 비중은 약 90%로 알려졌다. 

삼성전기는 전장용 MLCC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삼성전기는 올해 전장용 MLCC 매출 1조원 달성을 목표로 설정했다. 삼성전기 관계자는 "향후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영향으로 전장용 MLCC가 크게 성장할 것"이라며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MLCC가 700~1000개라면 전기차에 필요한 MLCC는 무려 3만개가 넘는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포스코
롯데케미칼
한국투자증권
한국조선해양
KT
엘지
신한카드
NH
KB국민은행
KB금융그룹1
우리은행
여신금융협회
동아쏘시오홀딩스
KB금융그룹3
KB증권
DB그룹
수협
종근당
하나금융그룹
교보증권
삼성전자 뉴스룸
농협
신한금융그룹
신한은행
KB금융그룹2
SK하이닉스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