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AI로봇 시대 '성큼'…현대차 로보틱스랩, CPS에 '방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고은서 기자
2024-06-27 19:44:16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결합한 CPS

3분기엔 전기차 충전 로봇 상용화

최리군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 상무는 2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 메타위크 연사로 참석했다사진고은서 기자
최리군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 상무는 2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 메타위크' 연사로 참석했다.[사진=고은서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다양한 로봇이 세상 밖으로 나타났지만 여전히 기대만큼 기술의 완성도는 높지 않다. 현대차그룹도 이 같은 아쉬움을 모르지 않았다.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지만 '인간을 향한 진보'라는 철학 아래 인간과 공존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데 주력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이유다.

최리군 현대자동차 로보틱스랩 상무는 27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서울 메타위크' 연사로 참석해 이 같은 이야기를 전하며 "로보틱스랩이 개발 중인 로봇의 정의는 사이버피지컬시스템(CPS)"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최 상무는 "웬만한 인공지능(AI)이 신입사원보다 나은 세상"이라며 "로봇에 대한 기대도 점점 커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기대 수준에 다다르지는 못해 전 세계 로봇 시장 규모도 작은 편"이라고 말했다. 

그는 "아직은 부품이 비싸고, 지능 수준도 높은 편이 아니다"라며 "통신 문제도 있다. 갑자기 와이파이가 느려지면 로봇이 말을 더듬기도 한다"고 전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CPS를 꼽았다. 최 상무는 "단지 우리는 로봇을 만드는 게 아니다. 차별화된 하드웨어, 그 다음에 내재화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함께 제공한다"며 "컴퓨터, 네트워킹, 물리적 프로세스를 결합하는 시스템"이라고 전했다.

현대차는 보스턴 다이내믹스와 로보틱스랩을 중심으로 로봇 분야 기술 초격차 확보 및 핵심 기술 내재화를 위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계열사간 협업으로 양사 기술을 공유해 인간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전망이다. 

최 상무는 현대차·기아가 올 3분기에 본격적으로 상용화할 전기차 충전 로봇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자동 충전 로봇이 전기차 번호판을 인식해 상태를 점검한 뒤 충전시키고, 완료되면 주차 로봇이 다시 차량을 제자리로 이동시켜주는 통합 서비스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T
한국토지공사
수협
NH
동아쏘시오홀딩스
농협
우리은행
이편한세상
삼성전자 뉴스룸
DB그룹
롯데캐슬
쿠팡
우리은행
한국조선해양
KB증권
종근당
롯데카드
엘지
한국투자증권
농협
셀트론
KB금융그룹1
하나금융그룹
미래에셋자산운용
신한은행
KB금융그룹2
M-able
대신증권_이코노믹데일리
신한금융그룹
신한카드
신한라이프
하나증권
KB손해보험
삼성증권
교보증권
포스코
SK하이닉스
LGxGUGGENHEIM
메리츠증권
KB금융그룹3
KB국민은행
여신금융협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