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9 화요일
맑음 서울 27˚C
부산 22˚C
대구 21˚C
맑음 인천 25˚C
광주 20˚C
흐림 대전 21˚C
울산 21˚C
흐림 강릉 22˚C
흐림 제주 25˚C
IT

[UDC 2025] 에릭 트럼프 "디지털 자산은 혁명, 지금이 뛰어들 최적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9-09 11:29:26

'기성 금융'에 등 돌린 트럼프 일가

디지털 자산이 비효율과 차별의 해답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UDC 2025에서 대담을 진행하고 있는 에릭 트럼프사진선재관 기자
업비트 D 컨퍼런스 2025(UDC 2025)에서 대담을 진행하고 있는 에릭 트럼프.[사진=선재관 기자]

[이코노믹데일리] “디지털 자산을 사용하면 기존 금융사가 정치적인 이유로 우리를 제약할 수도 없고 송금 수수료 같은 비효율도 감당할 필요가 없습니다. 아버지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포함한 우리 일가는 디지털 자산에 큰 믿음을 가지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차남인 에릭 트럼프 트럼프오거니제이션 총괄 부사장은 9일, ‘업비트 D 컨퍼런스(UDC) 2025’에서 이같이 밝히며 트럼프 가문이 디지털 자산 사업에 뛰어든 배경을 설명했다.

화상으로 진행된 특별대담에서 그는 기존 금융 시스템의 ‘정치적 제약’과 ‘비효율’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아버지가 정계에 진출한 이후 미국에서 많은 은행들이 정치적인 이유로 우리를 막으려 했다”며 “뱅크스 유나이티드 같은 금융사는 일가의 골프장 은행 계좌를 취소하려고 하는 등 우리를 거부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2021년 일부 미국 은행들이 트럼프 당시 전 대통령과의 거래를 중단한 바 있다.

에릭 트럼프는 이러한 경험이 탈중앙화된 디지털 자산에 눈을 돌리게 된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국가 간 송금에 수일이 걸리고 높은 수수료를 내야 하는 현재 금융 시스템의 비효율성을 지적하며 “디지털 자산을 활용하면 단 몇 초면 송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자산의 미래에 대해 매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는 “크립토는 우리 세대가 겪을 가장 큰 혁명인 만큼 지금 당장 뛰어들어야 한다”며 “주변에서 늦지 않았냐고 묻는데 절대 늦지 않았다. 이제 크립토 시대는 열리기 시작한 초기 단계이며 인터넷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그는 “앞으로 국가들은 좋든 싫든 디지털 자산을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며 “가만히 방관한다면 경쟁에서 뒤처질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이어 “미국 다음으로 큰 가상자산 시장을 갖춘 한국이 지금까지 잘 해왔지만 각종 규제가 남아 있다면 경쟁에서 이기기 어려운 점을 명심해야 한다”며 한국 정부에 규제 완화를 촉구하기도 했다.

트럼프 가문은 지난해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이라는 탈중앙화 금융 플랫폼을 설립했으며 최근 이 플랫폼이 발행한 WLFI 코인이 주요 거래소에 상장돼 큰 화제를 모았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국민은행_3
우리은행
하나금융그룹
신한은행
IBK
콜마
대신증권
하이닉스
미래에셋
신한카드
DB그룹
NH농협은행
KB국민은행_2
현대
한화
KB금융그룹_2
KB금융그룹_1
컴투스
한국토지주택공사
KB금융그룹_3
우리은행
KB국민은행_1
삼성물산
우리은행
우리은행
과실비율정보포털
kt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