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불길 안잡히는 화성 리튬전지 공장···'인화성' 높아 진화 어려워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유환 기자
2024-06-24 15:17:45

리튬 반응성과 인화성 높아 진화 어려워

열폭주 현상으로 불길 다시 살아나기

폭발 위험으로 통제선 설치하고 진화중

24일 경기도 화성시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 업체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관들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4일 경기도 화성시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 업체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관들이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경기 화성시에 위치한 리튬이온 배터리 제조 업체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이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리튬의 인화성과 불산가스의 위험성으로 인해 좀처럼 불길이 잡히지 않고 있다.

24일 오전 화재가 발생한 아리셀 공장은 일회용 건전지 등으로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만드는 공장이다. 배터리의 주재료인 리튬은 인화성과 가연성이 높아 위험물 관리법상 '3류 위험물'로 다루는 소재다.

리튬과 비슷한 3류 위험물로는 나트륨, 칼륨이 있다. 모두 화학적 반응성이 매우 커 물에만 닿아도 자연 발화하거나 폭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에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 발생할 때 불길이 빠르게 확산하는 특징이 있다.

'열폭주' 현상도 진화를 어렵게 하고 있다. 열폭주는 양·음극재와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된 배터리에서 분리막이 손상되면 온도가 1000℃ 이상으로 치솟으며 과열되는 현상을 말한다. 해당 공장 내부엔 이 같은 리튬전지 3만5000여개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문제는 잠시 외부의 불길을 잡더라도 내부 고열로 불길이 다시 살아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런 특성으로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살수차를 동원한 일반적인 방식으론 진화가 어렵다. 소방당국도 마른 모래를 뿌려 산소 공급을 차단하는 등 여러 진화 방법을 고려하고 있는 걸로 알려졌다.

소방당국은 폭발 위험성으로 인해 화재 현장으로부터 수십 미터 떨어진 곳에 통제선을 구축하고 외부에서 불길이 잡히길 기다리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까지 확인된 사상자 숫자는 심정지 1명과 중경상 3명 등 4명이다. 브리핑에 나선 김진영 화성소방서 재난예방과장은 "(오늘) 102명이 작업했는데 78명은 대피했고 실종자는 23명"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사상자 규모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농협
SK하이닉스
메리츠증권
이마트_데일리동방
동아쏘시오홀딩스
엘지
하나금융그룹
우리은행
미래에셋자산운용
신한금융그룹
KT
KB금융그룹1
KB금융그룹2
DB그룹
한국투자증권
쿠팡
KB국민은행
롯데캐슬
한국토지공사
LGxGUGGENHEIM
우리은행
종근당
신한라이프
신한카드
셀트론
KB금융그룹3
수협
하나증권
M-able
교보증권
KB손해보험
NH
이편한세상
KB증권
신한은행
롯데케미칼
대신증권_이코노믹데일리
삼성증권
포스코
여신금융협회
한국조선해양
삼성전자 뉴스룸
농협
롯데카드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