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밀리 사이트
아주경제
아주로앤피
아주일보
회원서비스
로그인
회원가입
지면보기
[국정자원 화재] 재해복구용 공주데이터센터, 18년째 '개점휴업'…'골든타임' 놓쳤다
기사 읽기 도구
공유하기
기사 프린트
글씨 크게
글씨 작게
2025.09.29 월요일
흐림 서울 22˚C
흐림 부산 22˚C
흐림 대구 25˚C
흐림 인천 22˚C
흐림 광주 24˚C
흐림 대전 23˚C
흐림 울산 24˚C
흐림 강릉 21˚C
흐림 제주 25˚C
IT

[국정자원 화재] 재해복구용 공주데이터센터, 18년째 '개점휴업'…'골든타임' 놓쳤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9-29 08:53:25

18년간 잠든 '국가 백업 심장'…공주센터가 열렸다면

대전센터 화재, 막을 수 있었던 '인재(人災)'

예산·유찰에 발목 잡혀…'액티브-액티브' 핵심 시스템도 미구축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사진연합뉴스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지난 26일 정부 전산시스템이 있는 국정자원에서 무정전·전원 장치(UPS)용 리튬이온배터리 화재가 발생해 정부 전산 서비스가 대규모로 마비된 바 있다.[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초유의 정부 전산망 마비 사태를 부른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는 국가 재난 대비의 ‘최후 보루’가 되어야 할 공주 재해복구 전용 데이터센터가 18년째 문을 열지 못하는 ‘행정 부실’이 낳은 예고된 인재(人災)였다는 비판이 나온다. 만약 공주센터가 정상 가동 중이었다면 이번 사태는 피해를 최소화하며 막을 수 있었던 ‘막을 수 있었던 재난’이었다.

29일 국회예산정책처의 2024년 회계연도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재해·재난 등 비상사태 발생 시 행정업무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 충남 공주에 국정자원 제4센터 신축을 추진해왔다. 공주센터는 단순한 데이터센터가 아니다. 화생방 공격, 지진, 전자기파(EMP) 공격까지 막아낼 수 있는 특수시설을 갖추고 대전·광주센터가 동시에 마비되는 최악의 상황을 대비해 설계된 국가 재난 대비의 핵심 인프라다.

이 센터는 무려 18년 전인 2008년 ‘정보보호 중기종합계획’에 따라 추진됐다. 당초 2012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두 차례의 타당성 재조사, 일곱 차례의 사업자 선정 유찰, 입찰방식 변경 등을 거듭하며 2019년에야 겨우 첫 삽을 뜰 수 있었다. 이후에도 공사비 증액, 공사 중단 등을 겪다 지난해 11월 정부 전산망 장애 사태가 터지자 뒤늦게 ‘액티브-액티브’ 실시간 이중화 시스템을 도입하겠다며 계획을 또다시 변경했다.

‘액티브-액티브’는 두 개의 데이터센터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동시에 가동되는 최고 수준의 재난복구 체계다. 한쪽에 불이 나도 다른 쪽에서 1초의 중단 없이 서비스를 이어받을 수 있다. 하지만 18년간 표류한 결과 현재 공주센터의 공정률은 66.9%에 불과하다. 행정안전부 관계자는 “전산 환경 구축 공사는 이달 말 끝날 예정이나 재난복구(DR) 시스템은 미구축된 상태”라고 밝혔다. 사실상 텅 빈 건물만 지어놓은 셈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보고서에서 “당초 전쟁, 재난, 재해 등 비상사태에 대비한 재해복구 전용 데이터센터의 필요성을 인식한 시점과 구축 운영 계획에 비해 장기간 계획이 지연된 측면이 있다”며 “이른 시일 내에 국가정보자원 백업센터로서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관리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속담마저 무색하게 정부는 소를 잃고도 18년째 외양간을 짓지 못했다. 이번 화재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외치면서도 정작 가장 기본적인 안전 인프라 투자에는 인색했던 정부의 민낯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미래에셋
빙그레
다올투자증권
kt
기업은행
신한라이프
현대
HD한국조선해양
KB금융그룹_1
동아쏘시오홀딩스
신한라이프
농협
한국증권금융
콜마
삼성물산
KB국민은행_3
DB그룹
우리은행
롯데케미칼
한국토지주택공사
대신증권
우리은행
국민카드
한화
KB금융그룹_3
KB국민은행_2
컴투스
부광약품
우리은행
삼성화재
바이오로직스
KB국민은행_1
한화
KB금융그룹_2
하이닉스
농협
삼성증권
신한카드
우리은행
신한은행
롯데카드
kb캐피탈
하나금융그룹
하나카드
GC녹십자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