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요일
맑음 서울 1˚C
맑음 부산 7˚C
맑음 대구 5˚C
흐림 인천 2˚C
흐림 광주 5˚C
흐림 대전 3˚C
흐림 울산 4˚C
흐림 강릉 1˚C
흐림 제주 10˚C
금융

"안전 투자 선호" 금리 하락세에도 은행 예금 17조 '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4-06-07 16:55:23

주식, 가상자산 투자 위축도 원인

5대 시중은행 본점 로고 사진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 본점 로고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연 4%대 정기예금 상품이 사라지며 금리 하락세를 보이는 반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기예금 잔액은 한 달 새 17조원 늘었다. 저축은행 수신 금리 하락과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자금이 움직인 것으로 풀이된다.

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19개 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상품 35개 중 최고금리가 연 4%를 넘어서는 상품은 찾을 수 없었다.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도 연 3.5∼3.6% 사이다.

기준금리(연 3.5%) 수준의 금리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정기예금 수요는 되레 늘었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889조7062억원으로 전월 말(872조8820억원)보다 16조8242억원 증가했다.

이런 현상은 먼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간 수신 금리 차이가 좁혀진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앞서 저축은행들은 건전성 개선을 이유로 수신 규모를 줄이면서 예금이자가 시중은행보다 낮아졌다. 따라서 매력도가 떨어지자 저축은행 자금은 빠져나가고 시중은행으로 예금이 몰린 것이다.

통상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1~2%p 높은 금리를 제공하면서 고객을 유입해 왔다.

저축은행중앙회에 공시된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연 3.67%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3.96%에서 0.29%p 떨어진 수준이다. 같은 조건의 5대 은행 금리(3.47%)와 단 0.2%p 차이에 불과했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현재 예금금리를 고점으로 보는 인식도 영향을 미쳤다. 또 주식, 가상자산 등의 투자 위축도 은행 정기예금 수요를 높이는 데 한몫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은행들이 연체율 증가 이슈로 여·수신 규모를 줄여 건전성 관리에 나섰는데, 일부 상품의 경우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간 이자가 역전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며 "금리 인하 시기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은행이 안전한 선택지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신한금융지주
우리은행
신한은행
스마일게이트
경주시
NH
db
한국투자증권
하이닉스
삼성화재
DB손해보험
하나금융그룹
씨티
삼성증권
kb금융그룹
한화
롯데캐슬
교촌
포스코
NH투자증
카카오
삼성전자
SC제일은행
신한투자증권
KB국민은행
한화투자증권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