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안전 투자 선호" 금리 하락세에도 은행 예금 17조 '쑥'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4-06-07 16:55:23

주식, 가상자산 투자 위축도 원인

5대 시중은행 본점 로고 사진연합뉴스
5대 시중은행 본점 로고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연 4%대 정기예금 상품이 사라지며 금리 하락세를 보이는 반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정기예금 잔액은 한 달 새 17조원 늘었다. 저축은행 수신 금리 하락과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자금이 움직인 것으로 풀이된다.

7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국내 19개 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상품 35개 중 최고금리가 연 4%를 넘어서는 상품은 찾을 수 없었다. 5대 시중은행의 정기예금 금리도 연 3.5∼3.6% 사이다.

기준금리(연 3.5%) 수준의 금리 하락세에도 불구하고 정기예금 수요는 되레 늘었다. 지난달 말 기준 5대 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889조7062억원으로 전월 말(872조8820억원)보다 16조8242억원 증가했다.

이런 현상은 먼저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간 수신 금리 차이가 좁혀진 것이 요인으로 꼽힌다. 앞서 저축은행들은 건전성 개선을 이유로 수신 규모를 줄이면서 예금이자가 시중은행보다 낮아졌다. 따라서 매력도가 떨어지자 저축은행 자금은 빠져나가고 시중은행으로 예금이 몰린 것이다.

통상 저축은행은 시중은행보다 1~2%p 높은 금리를 제공하면서 고객을 유입해 왔다.

저축은행중앙회에 공시된 전국 79개 저축은행의 12개월 만기 정기예금 평균금리는 연 3.67%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 3.96%에서 0.29%p 떨어진 수준이다. 같은 조건의 5대 은행 금리(3.47%)와 단 0.2%p 차이에 불과했다.

아울러 올해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현재 예금금리를 고점으로 보는 인식도 영향을 미쳤다. 또 주식, 가상자산 등의 투자 위축도 은행 정기예금 수요를 높이는 데 한몫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최근 은행들이 연체율 증가 이슈로 여·수신 규모를 줄여 건전성 관리에 나섰는데, 일부 상품의 경우 시중은행과 저축은행 간 이자가 역전하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했다"며 "금리 인하 시기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은행이 안전한 선택지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엘지
여신금융협회
메리츠증권
LGxGUGGENHEIM
롯데카드
수협
NH
한국투자증권
농협
신한라이프
한국토지공사
M-able
하나증권
하나금융그룹
KB손해보험
롯데캐슬
셀트론
DB그룹
우리은행
KB증권
대신증권_이코노믹데일리
우리은행
신한금융그룹
삼성전자 뉴스룸
쿠팡
삼성증권
농협
미래에셋자산운용
신한은행
종근당
동아쏘시오홀딩스
이편한세상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