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임기 반년 남긴 5대 은행장들…'창업보다 수성이 더 어렵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지다혜 기자
2024-06-04 06:00:00

이재근 행장 재임…다른 행장 모두 초임

수익성 제고 및 건전성 관리 '공통 과제'

왼쪽부터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석용 NH농협은행장 사진각 사
(왼쪽부터)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석용 NH농협은행장 [사진=각 사]
[이코노믹데일리]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수장들이 모두 올해 말 임기 만료를 앞둔 가운데 이들의 연임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12월 말 이재근 KB국민은행장, 정상혁 신한은행장, 이승열 하나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이석용 NH농협은행장 등 5대 은행장들의 임기가 종료된다. 임기가 약 6개월가량 남은 셈이다.

이재근 행장은 2022년 1월 국민은행 수장으로 오른 뒤 2년 임기를 성공적으로 보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지난해 11월 단독 후보로 추천받아 1년 연임이 추가됐다. 정상혁 행장과 이승열 행장은 지난해 2월, 지난해 1월부터 각각 수장을 맡았다. 조병규 행장은 지난해 7월, 이석용 행장은 지난해 1월 취임했다.

이들 행장은 은행의 새로운 먹거리 확보, 상생금융, 주주가치 제고 등 다양한 노력들을 해왔지만 남은 임기 동안 해결해야 할 과제도 산적한 상태다. 크게 △수익·성장성 개선 △자산 건전성 관리 △해외시장 진출 확대 △디지털 역량 강화 등이 지목된다.

이재근 행장은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주가연계증권(ELS) 배상에 따른 손실 회복이 급선무로 꼽힌다. 홍콩ELS 배상 규모가 가장 컸던 국민은행은 손실 배상 비용(8620억원)을 충당부채로 실적에 반영했다. 이에 따라 올 1분기 당기순이익은 전년 동기(9315억원) 대비 58% 급감한 3895억원을 거두는 데 그쳤다. 다만 최근 홍콩H지수가 반등세를 보이면서 손실·배상 규모가 줄어들 가능성도 있는 상태다.

이 행장은 남은 임기 동안 취임 직후부터 강조해오던 디지털 금융에 방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은행 간 통합 뱅킹 애플리케이션(앱)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국민은행의 자사 뱅킹 앱인 'KB스타뱅킹'은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 1227만명을 돌파하면서 거래율과 모바일 전환율 등에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KB국민은행 관계자는 "올해 플랫폼 전용 통신 요금제 출시 및 모임통장 서비스 개편 등 모바일 중심의 고객경험을 확대하고, 국민지갑을 비롯한 플랫폼 서비스를 더욱 고도화해 새로운 생활금융 모델을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상혁 행장은 신한은행이 올 1분기 9286억원의 순익을 내며 리딩뱅크 자리를 되찾은 만큼 1위 자리 수성이 중요해졌다. 특히 기업금융을 강화하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는데 동시에 연체율 상승에 따른 리스크 관리는 숙제로 남았다. 신한은행의 1분기 기업대출 잔액은 전 분기(160조6834억원)보다 3.9% 증가한 167조216억원을 기록했고, 연체율은 0.26%에서 0.32%로 증가했다.

신한은행 측은 상반기에는 고객 기반 확보를 위한 빠른 성장을 추진했지만, 하반기에는 수익성과 건전성을 전체적으로 고려한 균형 있는 성장을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 행장도 신한은행의 디지털 경쟁력 제고를 위해 노력 중이다. 신한금융의 통합 앱인 '슈퍼 쏠(SOL)' 이용 고객 대상으로 통장과 적금 등 특화 상품을 출시하는 등 디지털 역량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아울러 금융사고 예방에도 앞장서고 있다. 금융사 임원이 책임져야 하는 내부통제 대상 업무와 범위를 스스로 사전에 정하는 책무 구조도를 은행권 최초로 작성, 다음 달 시범 시행에 들어간다.

이승열 행장의 과제 역시 하나은행의 지속적인 성장을 이끄는 일이다. 이 행장은 지난해 영업력 강화로 하나은행의 리딩뱅크 입지를 굳히기도 했다. 취임 때부터 강조했던 고객과 현장, 자산관리 및 외환 등 강점에 집중한 결과였다.

이 행장은 소상공인·자영업자, 취약계층 등 금융소비자와 중소기업 지원 등 상생금융도 소홀하지 않았다. 2년 연속 사회공헌활동 비용으로 가장 많은 규모를 내놓은 은행에 꼽히기도 했다. 

하지만 올 1분기에는 전년보다 13% 줄어든 8432억원의 순익을 기록하며 리딩뱅크 타이틀을 내줘야 했다. 강점 중 하나였던 기업금융 부문에서도 기업대출 연체율이 전년 대비 0.04%p 오른 0.30%를 기록했다. 따라서 이 행장은 리딩뱅크 재탈환과 건전성 관리에 힘쓸 것으로 보인다. 또 네이버페이, 당근 등 플랫폼 기업과도 협업해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내놓을 방침이다.

조병규 우리은행장은 지난해 취임 당시부터 '기업금융 명가(名家) 재건'을 목표로 대기업뿐 아니라 중소기업 대출 영업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올해 중소기업 특화 점포인 'BIZ프라임센터'를 5곳이나 신설했다.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하고, 성장성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등 기업금융 극대화에 나섰다.

다만 중소기업 중심으로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추세는 조 행장이 해결해야 할 숙제다. 근래 들어 중소기업 경기 전망도 계속 악화하면서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조 행장은 수익성 개선을 위해 기업대출 외에도 고액자산가를 위한 자산관리(WM) 특화 점포 늘리기에 주력한다. 최근에는 행장 직속의 신사업추진위원회를 설립하고 알뜰폰 시장 진출에도 본격 드라이브를 걸었다. 이를 통해 비이자수익 확대에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석용 농협은행장의 경우 수익 개선과 내부통제 강화가 가장 중요한 과제로 지목된다. 앞서 농협은행은 이 행장 체제에서 지난해 연결기준 순이익 1조7805억원을 거두면서 사상 최대 실적을 냈다. 또 자사 모바일 앱인 'NH올원뱅크' 고도화로 지난해 가입자 수 1000만명을 달성하기도 했다.

다만 올해 1분기 실적 부진을 비롯해 배임 사고까지 연달아 발생하면서 이 행장의 향후 거취에 관심이 쏠리는 상황이다. 지난달 7일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중대사고와 관련한 대표이사 연임 제한 등이 포함된 범농협 차원의 내부통제와 관리책임 강화를 위한 대책을 발표하면서 이 행장 연임에 적신호가 켜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