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사용자 경험(UX) 측면에서 큰 변화가 감지된다. 카카오는 △홈 △콘텐츠 △커뮤니티 △쇼핑 등 4개의 핵심 탭을 전면에 내세웠다. 이는 기존의 복잡했던 메뉴 구성을 단순화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와 기능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한 전략이다. 특히 '홈' 탭에서 날씨, 증시, 운세와 같은 생활 밀착형 정보와 더불어 AI가 추천하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단연 'AI 기반 개인화 서비스 강화'다. 카카오는 AI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관심사와 이용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브런치스토리, 다음카페, 숏폼, 뉴스 등 다양한 콘텐츠를 맞춤형으로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선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내 체류시간을 늘리고, 궁극적으로는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는 핵심 전략이다.
이러한 전략은 경쟁사인 네이버의 행보와도 궤를 같이 한다. 네이버 역시 AI 기술을 활용한 개인화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다. 네이버는 '서치피드'를 통해 사용자의 관심사에 맞는 정보와 트렌드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숏텐츠'와 '클립' 탭을 신설하여 숏폼 콘텐츠를 강화했다. 특히 '서치피드'는 UGC(사용자 제작 콘텐츠)와 클립(짧은 동영상) 등을 포함하고 있어 다음의 새로운 기능들과도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카카오가 올해 안에 '숏폼' 탭을 신설하겠다고 밝힌 점 역시 주목할 만하다. 숏폼 콘텐츠는 최근 모바일 콘텐츠 시장의 핵심 트렌드로 자리 잡았으며 특히 젊은 사용자층에게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카카오는 숏폼 콘텐츠 강화를 통해 젊은 사용자층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이를 통해 네이버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의 이러한 전략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결국 AI 기술력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사용자에게 얼마나 정교하고 만족스러운 맞춤형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느냐가 경쟁의 핵심이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이미 수년간 AI 기술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해왔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가 네이버와의 경쟁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AI 기술 고도화와 차별화된 콘텐츠 제공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