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요일
흐림 서울 30˚C
흐림 부산 32˚C
흐림 대구 34˚C
흐림 인천 30˚C
맑음 광주 32˚C
흐림 대전 32˚C
구름 울산 33˚C
흐림 강릉 30˚C
흐림 제주 30˚C
건설

한국 건설업 사망률, OECD 10개국 중 1위…평균의 2배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선재관 기자
2025-08-15 13:48:59

'건설현장=죽음의 일터' 오명

韓 사망률, 선진국 평균 2배 넘어

대한민국 건설현장의 충격적 성적표

지난 6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과 위원들이 작업자가 중상을 입고 의식불명에 빠진 사고가 발생한 경기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건설공사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지난 4일 미얀마 국적의 30대 남성 근로자 A씨가 지하에 설치된 양수기 펌프가 고장을 일으키자 점검하기 위해 아래로 내려갔다가 감전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다 사진연합뉴스
지난 6일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을지로위원회 위원장과 위원들이 작업자가 중상을 입고 의식불명에 빠진 사고가 발생한 경기 광명시 포스코이앤씨 고속도로 건설공사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지난 4일 미얀마 국적의 30대 남성 근로자 A씨가 지하에 설치된 양수기 펌프가 고장을 일으키자 점검하기 위해 아래로 내려갔다가 감전 사고를 당해 심정지 상태로 병원에 이송됐다. [사진=연합뉴스]

[이코노믹데일리] 대한민국 건설업 근로자의 사고 사망률이 주요 선진국 평균의 2배를 넘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 10대국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산업 재해율 역시 최상위권에 머물러 국가 전반의 안전 시스템에 대한 근본적인 성찰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 15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건설업 사고사망만인율(근로자 1만 명당 사망자 수)은 1.59로 집계됐다. 이는 OECD 경제 10대국 평균인 0.78의 두 배가 넘는 압도적인 1위 수치다. 안전 선진국으로 꼽히는 영국(0.24)과 비교하면 6.6배, 독일(0.29)보다는 5.5배나 높다. 한국에 이어 캐나다(1.08), 미국(0.96), 프랑스(0.97) 등이 뒤를 이었지만 격차는 컸다.

이러한 문제는 건설업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건설업을 포함한 한국의 전체 산업 사고사망만인율은 0.39로 캐나다(0.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10개국 평균(0.24)보다 약 1.6배 높은 수준이다. 특히 한국은 전체 산업 평균 대비 건설업의 사망률이 4.08배 높아 타 산업군과 건설업 간의 안전 수준 격차가 다른 나라보다 유독 큰 것으로 분석됐다.

보고서는 건설업이 옥외 작업 비중이 높고 근로자 고령화, 복잡한 사업구조 등 본질적인 위험 요인을 안고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전체 산업의 안전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건설업 안전 지표 역시 양호한 경향을 보였다. 이는 개별 산업의 문제를 넘어 국가 차원의 안전 문화와 시스템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2023년 국가별 건설산업 사고사망만인율왼쪽 건설산업 사고사망만인율 격차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2023년 국가별 건설산업 사고사망만인율(왼쪽), 건설산업 사고사망만인율 격차. [사진=한국건설산업연구원]

최수영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건설 산업과 전체 산업 간 안전 수준 격차를 줄이는 산업 차원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내 전체 산업의 안전 수준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국가 차원의 종합 전략도 병행될 필요가 있다"며 가정과 학교, 산업 현장을 아우르는 전 생애주기적 안전 문화 혁신을 해법으로 제시했다.


0개의 댓글
0 / 300
댓글 더보기
KB금융그룹_3
kb_2
한화
미래에셋자산운용
부영그룹
신한은행
동국제약
KB_1
IBK
우리은행_1
NH농협
넷마블
국민카드
하나금융그룹
메리츠증권
여신금융협회
한미그룹
kb_3
KB
롯데
SK증권
삼성자산운용
신한투자증권
KB금융그룹_1
우리은행_2
농협
kb
농협
KB금융그룹_2
종근당
신한금융
다음
이전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